PC케어전문 셈틀과사람들 모바일페이지!!

Home
인사말
비젼
조직도
오시는길
PC홈서비스
유지보수관리
조립PC/서버
데이터복구
네트워크구축
기술상담지원
장비보유현황
PC케어전문 셈틀과사람들 모바일페이지!!


★네트워크구축★



컴퓨터의 많은 보급과 초고속 인터넷이 보편화 되면서 기업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컴퓨터를 2 ~3대 이상 보유하고 계시는 곳이 많아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요즘에는 노트북에 테블릿, 스마트폰까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해야 하는 기기의 종류가 엄청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와 NAS(Network-Attached Storage), CCTV 같은 기기 및 장비들을 유선 또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스템공유와 인터넷공유를 실현해 드립니다.

GigaLAN 이더넷허브 10/100/1000Mbps Wi-Fi


 1.네트워크 구축

네트워크 란 무엇인가?
  - 데이터 통신망 또는 단말 장치 간의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자원의 집합 (참고: 최신 컴퓨터대사전, 기다리)
  - 1994 컴퓨터 시스템을 정보 처리에 활용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도구이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뿐만 아니라 원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을 모두 통칭해 부르는 말이다.

네트워크 도입효과
  - 업무 거리의 제한 철폐
  - 업무별 분산처리
  - 자원 공유
  - 빠르고 정확한 쌍방향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역사
  - 전신 : 모오스(Samuel Morse), 모오스 부호, On/Off 의 연속열(Stream) 모오스의 포트룰(Port-Rule) 전신,
              에디슨의 프린트 전신
  - 전화 : 알렉산더 그레헴 벨(Alexander Bell), 1876년 2월14일 미국 특허청에 특허신청
  - 인쇄전신 : 보도(Baudot),텔레타이프라이터(TTY)
  - 초기의 네트워크
     Point to Point : 고정 지점 대 고정지점 방식, 전신, 미국 대륙간 철도 정보 제공
     전화 네트워크 : 모든 전화 가입자와 통신 가능

LAN 의 역사
  - 1960년대 : 연구소 범위의 네트워크 관련 연구 진행
  - 1970년대 전반 : 미국 Xerox사의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3Mbps Ethernet 발표
  - 1970년대 후반 : Xerox사의 PARC에서 10Mbps Ethernet 발표
  - 1980년대 : Ethernet V1.0 발표(DIX : DEC, Intel, Xerox) IEEE 800위원회 등장
  - 1982년 : Novell Netware 발표
  - 1984년 : GM사의 MAP, BCS사의 TOP 광 대역(Broad Band) 랜 등장
  - 1985년 : AT&T 3B NET, IBM의 Token Ring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 접근)광 랜 등장
  - 1987년 :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광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광 랜 등장
  - 1993년 :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초고속 랜 등장

네트워크으로 할수 있는일들은
  - 하드 디스크 공유와 파일 교환 (Sharing, File Server)
  - 데이터 교환 (FTP, E-Mail, Database)
  - 프린터 공유 (Printer Server)
  - 원격접속 (Telnet)


컴퓨터에 있어서 네트워크 란?

두대 이상의 PC를 LAN(Local Area Network)장비 등을 사용하여 시스템 자원을 다같이 공유 할 수 있도록 연결 해주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소규모 공간(주택 및 사무실)에서 인터넷 연결장비(ADSL, Cable모뎀 등)1개소에서 서버로 구축된 PC에서 S/W적인 기능 또는 네트워크 장비(허브 및 IP공유기 & 유.무선공유기)를 이용하여 여러 대의 PC에서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 하거나, 파일공유, 프린트 공유, 팩스 공유 등을 가능 하도록 하는것 입니다.(단 케이블 거리 100M 이내)


 2.네트워크 장비 소개

1) LAN Card : 1000Mbps / 100Mbps / 10Mbps
GigaLAN PCIex카드(고급형) 10/100/1000Mbps GigaLAN PCI카드(데스크탑용) 10/100/1000Mbps
PCI카드(데스크탑용) 10/100Mbps PCI카드(데스크탑용) 10Mbps
PCI카드(데스크탑용) 10Mbps PC카드타입(PCMCIA:32Bit 노트북용) 10/100Mbps
PC카드타입(PCMCIA:16Bit 노트북용) 10Mbps USB타입(데스크탑, 노트북 겸용) 10Mbps


2) Wireless LAN Card : 300Mbps / 150Mbps, 54Mbps / 11Mbps
PCIex타입(데스크탑용) 300Mbps PCI타입(데스크탑용) 54Mbps
USB타입(데스크탑, 노트북 겸용) 54Mbps PC카드타입(PCMCIA:노트북용) 54Mbps
CF타입(PDA용) 11Mbps 레이아웃 맞춤용 더미이미지




3) HUB : Giga HUB(10/100/1000Mbps) / Switching HUB(10/100Mbps) / Dumy HUB(10Mbps)
3Com 10/100/1000Mbps 기가허브 LG상사 10/100Mbps 스위칭허브
10Mbps 더미허브 레이아웃 맞춤용 더미이미지





4) Access Point & 인터넷 IP 공유기
300Mbps Access Point(고급형) 유.무선 IP공유기(AP, AccesPoint)
IP 공유기(유선) 레이아웃 맞춤용 더미이미지




 3.인터넷공유 & 기가 네트워크 구축도(유선) 
유선 인터넷공유 & 네트워크



 4.유.무선 인터넷공유 & 기가 네트워크 구축도 
유.무선 인터넷공유 & 기가 네트워크

※기가 네트워크는 기가(G)bps 지원 유.무선 공유기(AP:Access Point) 또는 아이피 공유기(IP Router), 기가(G)bps 지원 메인보드 및 이더넷 카드, CAT.5e 및 CAT.6(권장) 이상의 STP, FTP급 이더넷 케이블 등의 기가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비 및 자재가 결합되어야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더넷 케이블도 CAT.6 이상의 브랜드 완성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지연율 및 손실율을 줄여 성능을 올리는데 효과적입니다.




 5.구축 가격표 (인터넷 공유S/W , 공유기 별도) (기본5대 이상)
구 분
가 격
사 용 장 비
비 고
LAN Card
H U B
Cable
절약형
30,000원/대당
리얼택 10/100MB bps
10/100MB bps
또는 IP공유기
국 산
(LG, 극동)
평균
거리
20M
기준
표준형
80,000원/대당
SMC 10/100MB bps
Switching HUB
또는 IP공유기
국 산
(LG, 극동)
고급형
150,000원/대당
3Com 10/100MB bps
Switching HUB
또는 IP공유기
외 산(BelDen)
- 부가가치세별도
- 케이블몰딩 비용별도
- 다른장비(무선 장비 등) 사용시 별도견적


 6.인터넷 공유기 구입비용
구 분
저가형
일반형
고급형
비 고
유선 공유기
80,000원
150,000원
250,000원
랜카드 별도
무선 공유기
150,000원
200,000원
400,000원
무선랜카드 별도


7.인터넷 공유S/W (Sygate 4.0) 구입비용
구 분
3 User용
6 User용
10 User용
25 User용
비 고
Sygate 4.0
50,000원/개
80,000원/개
150,000원/개
250,000원/개
 



 8.NAS(Network-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구축
시놀로지 NAS   ipTime NAS
※네트워크의 활용도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NAS를 구축하여 연동을 합니다.
NAS는 Network-Attached Storage의 영문 약자로서 라우터, 공유기, 허브 등에 연결해서 다수의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저장장치입니다.
컴퓨터와 1:1로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으로 접속해서 사용합니다.
각각의 사용자를 ID/패스워드를 발급해서 관리할 수 있으며, 파일공유 뿐만 아니라 실시간 동영상 재생, 백업, 웹하드 등의 기능도 지원합니다.
NAS로 Drop box나 Google drive 등을 대신하여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있는 사진을 동기화해서 백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한 파일에 대한 동기화도 가능합니다.
무료 클라우드도 있지만 NAS가 속도도 훨씬 빠르고 용량도 거의 무제한입니다.



 9.CCTV 네트워크 구축
CCTV 카메라 LG   EZPIS DVR
CCTV 원격모니터링

CCTV 원격모니터링

CCTV 원격모니터링


※CCTV도 이전 처럼 폐쇄회로운영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서 자유롭게 영상을 확인 및 DVR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작업장 및 매장에 위치에 맞추어서 카메라를 배치하고, DVR에 연결을 합니다.
DVR을 랜케이블을 통하여 IP공유기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하고, 다시 공유기 내부에 접속하여,내부 네트워크 연결 및 DDNS 설정을 해 줍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에 원격지뷰 앱을 설치하고, 연결정보를 설정합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원격뷰앱을 열고 DVR에 접속하여 설정한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으로 원격지에 설치된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0.네트워크 구축 견적의뢰

  TEL: 051-514-9907  FAX: 051-516-9908
  E-mail:  kamshang@hanmail.net
  담당: 고필희





Copyright(C) 1999- 에스티시스템즈 부설『셈틀과사람들』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오페라, 크롬, 사파리 등의 모바일 웹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